[SW설계 및 테스트] gradle 알아보기 및 설치하기
Gradle에 대해 알아보기
Gradle이란 빌드 자동화 도구이다.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을 빌드할 때는 다음과 같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거친다.
① 소스코드 컴파일
② 테스트 코드가 존재한다면, 컴파일 후 테스트 프레임워크 사용하여 테스트 수행
③ 컴파일된 파일 가지고 .jar 혹은 .war 등 배포 가능한 형태로 패키징
④ 빌드 후 생성된 출력물을 local repository 혹은 remote repository로 배포
⑤ 빌드 결과 정리하여 레포트 생성
Gradle을 사용하면 해당 빌드를 자동화하는 것인데, build.gradle이라는 이름으로 된 파일엥 각 단계를 정의하여 처리한다.
Gradle은 자바 기반의 Groovy 언어를 사용하여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한다. 개발자들이 조금 더 쉽게 사용하도록 plug in을 통해 스트립트를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.
이해를 돕기 위해 빌드 스크립트 예시와 함께 살펴보자.
②는 라이브러리 저장소를 의미한다.
③은 test코드의 컴파일 단계 라이브러리를 명시해 준 것이다.
④은 ③과 비슷하지만 다르다. test코드가 돌아가는 동안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명시하였다.
→ ③ , ④에 들어가는 기술 명시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. '그룹 : 이름 : version'을 의미한다.
→ 그룹은 해당 라이브러리를 만든 기업 및 단체의 이름을 명시하는 것을 말한다.
→ '이름'은 라이브러리의 이름을 써주어야 한다.
→ version은 build하는 동안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의 버전을 명시해주는 부분이다.
⑤ 은 상황에 맞게 customizing이 가능하다. 이 경우엔, 테스트 코드를 실행할 때 JUnit Platform을 사용한다는 것을 말한다.
Gradle 설치하기
Gradle | Releases
Find binaries and reference documentation for current and past versions of Gradle.
gradle.org
해당 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의 Gradle 중 binary-only 를 다운로드 받는다.
그 후, 원하는 장소에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. 다음으로 GRADLE_HOME 환경변수를 만든다.,
환경변수는 윈도우 검색창에 시스템 환경 변수를 검색하면 나온다.
그 후 Path 변수에 gradle\bin파일을 추가해주어야 한다.
gradle이 잘 설치되었는지 보기 위해 cmd 창을 하나 띄워 다음과 같이 확인해준다.
이렇게 version이 잘 출력되면 설치가 잘 된거다!
만약 출력이 안된다면 혹시 path 설정을 빼먹지는 않았는지 확인해보자. 만약 내가 다운받은 버전과 출력되는 버전이 다르다면 다른 gradle이 다운받아져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보자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