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classification 논문을 읽다가 결과 부분에서 AUC를 다루며 95%CI라는 단어를 많이 보게 되었습니다. CI에 대해 딥러닝 결과 추출에서 필요한 만큼만 공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혼자 공부하면서 올리는 포스팅인만큼 내용이 틀릴수도 있습니다. 혹시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:) CI는 confidence interval, 즉 신뢰구간을 의미합니다. 사실 신뢰구간이라는 말은 고등학교 통계 시간에도 꽤 듣는 말입니다. 신뢰구간은 모집단이 큰 경우에 많이 사용되는 개념입니다. 모집단은 우리가 통계를 내고자 하는 집단의 전체를 말합니다.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모집단은 구하기 힘들 수 밖에 없죠. 예를 들어, 우리나라의 난소암 발병 통계를 내본다고 가정해봅시다. 그렇다..